반응형

1. 안정적이고 완벽한 코드를 짜는 것도 중요하지만 때로는 시간과 타협해서 돌아가는 코드를 짜는 것만으로 만족해야 할 때가 있다.

이 문구를 읽고 너무 공감이가서 정말 속이 다 시원했다. 물론 내가 짠 코드를 최대한 우아하게 짜고 싶고 각 종 패턴들까지 적용은 아니더라고 누가봐도 읽기 쉽고 잘짰다는 소리를 들을 수 있길 원한다. 하지만 보통 실무에서 이렇게 여유롭게 코드를 리팩토링 할 수 있는 여유가 보통은 없을 것이다. 그러면 가끔 실무에서 손을 뗀 사람들 혹은 소위 아가리어터들(입으로만 떠드는)은 얘기한다. 그 짧은 시간 안에 코드를 잘짜는게 실력이다'라고 하기도 한다. 이게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이다. 물론 그 짧은 시간안에서도 뇌의 CPU가 300%돌아가며 최적의 코드를 짜내는 사람도 분명 있긴 있을 것이다(이런분들이 저런 얘길 하면 아무말도 안한다...그저 존경의 대상일뿐)

하지만 보통은 울며겨자먹기 식으로 급하게 패치를 해야 하는 경우나 기능개발에 비해 일정이 너무나도 짧아 본인이 만들어 놓은 코드를 리팩토링 한 번 제대로 못한 채 테스트만 통과한 상태로 나가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전에는 경력 많으신 관리직분들의 얘기나 혹은 개발 관련 글들을 읽고 생각했었다. '아 내가 아직 많이 부족해서 그래.. 짧은 시간안에서도 SOLID(객체지향설계)원칙을 지키는 코드를 짜내고야 말겠다고!' 풉🙊 

시간과 타협해 버그 없이 돌아가는 코드를 짜내는 것만으로도 훌륭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거기서 끝나면 안된다. 바쁠때는 어쩔 수 없더라도 좋은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시간을 내든 여유 시간이 생겼든, 뒤로 돌아와 '시간과 타협해 돌아가게 만든 코드를 리팩토링 하는거!' 정말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때 우리는 좀 더 발전할 수 있다.

 

2. 우리는 개발자이다. 맘만 먹으면 생각하고 있는 동작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대단하면서도 신기한 사람들이다.

나도 정말 그렇게 생각한다. 우리는 무에서 유를 창출해내고 있는 사람들이며 내 머릿속 생각을 실제 서비스로 혹은 시스템으로 만들 수 있는 연금술사 같은 사람들이다. 이 문구는 내가 개발자로서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모습에 감사함을 느끼게 해주었다. 하지만 제일 중요한 것은 '맘만 먹지말자'는 것이다. 다이어트도 그렇고 신년 계획도 그렇고 맘만먹는 것과 행동하는 것은 다르다. 우리에게 주어진 감사한 능력을 맘껏 발휘해 나만의 서비스를 만들고 운영해보자.

 

3. Stack Overflow Driven Development (SODD) 라는 말이 있듯이 개발은 사실 엄청난 성능과 최적의 알고리즘을 요하는게 아니라면 개발자 간의 경쟁력은 일반적인 개발실력 이외엔 시간과 경험의 차이인것 같다.

이 말인 즉슨 보통 '개발과 구글링과는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이기 때문에 굳이 엄청난 알고리즘 지식들을 머릿속에 넣고 있는게 중요하지 않다'라고 생각된다. 일반적인 서비스를 개발하는 영역에서는 사실상 학부시절 배웠던 DFS(깊이우선탐색)이나 BFS(너비우선탐색)과 같은 기초로 여겨왔던 알고리즘 조차 쓸일이 거의 없다. 실제로 필요하다고 해도 해당 부분을 처음부터 끝까지 직접 개발하는 일은 더더욱 드물다. 보통은 나보다 머리가 똑똑한 사람들이 라이브러리 형태로 왠만한 언어로 다 만들어놓았고 우리는 잘 검색해 믿음직스러운 코드를 가져다가 테스트해보고 커스터마이징 하여 사용하는 수준일 것이다.

그렇기에 알고리즘을 많이 알고 있다는 것이 그렇게 중요한 요소로 생각되진 않는다. 취업준비생들 혹은 구글과 같이 알고리즘에 대한 것을 많이 물어보는 기업에 취업하고 싶다면 필수로 공부가 필요하긴 하다. 하지만 연차가 쌓여가면서 얻는 경험은 단순히 공부한다고 배울 수 있는게 아니다. 항상 어른들이 말씀하실 때 모든건 때가 있듯 각 개발연차마다 배워야 할, 배울 수 있는 것들의 시기라는게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에 지금 내가 하는 일에 대해 항상 단순 워커 모드로 기능 개발만 하고 끝낼 것이 아니라 영향 가는 부분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할지 등 확장시켜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더 나아가서는 이러한 부분을 직접 구현해보고 문서화 시켜서 사람들에게 설명해보는 연습도 한다면 금상첨화일 것 같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에 적어놓았던 독서노트 문구중 공유할만한 문구 몇 가지를 소개해볼까 한다. 어떤 책인지는 적어놓지 않아 모르겠다ㅠㅠ

개발자로 일을 하고 있지만 나 또한 처음 개발자로 취업한 것이 결코 코딩을 하는 것이 즐겁거나 재미있어서가 아니였다. 하지만 지금은 하루 하루 코딩하며 개발자로서의 삶을 살아 갈 수 있다는 것이 큰 기쁨이다. 어떻게 이렇게 된걸까?라고 생각을 해보면 분명 힘든 시절이 있었다. 남들과의 비교로 내 실력이 형편없어 보일 때 오는 좌절감과 특정 기능 구현에서 막혔을 때의 막막함이 있었지만 그런 고통 속에서 나는 하루 하루 성장해 나갔던 것 같다. 그렇게 다양한 문제들에 직면하고 해결하는 과정, 비교로부터오는 좌절감을 극복하기 위한 공부는 내 개발실력을 조금씩 향상시켜주었다. 사람은 이기적인 동물이라 내가 잘하는 것은 재밌다고 느낄 확률이 크고 잘 하지 못하는 것에 대해서는 하기 싫은 법이다. 적성에 맞는지 안맞는지는 내가 그 일을 '잘한다'라는 생각이 들 위치까지 올랐을 때 잘함에도 불구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더이상 하고 싶지 않을 때 생각해봐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일단 지금의 일을 잘하기 위해 노력부터 해보자.

아래의 문구들은 나의 위의 생각들을 뒷받침해주는 내용이기에 공감이 가서 노트에 적어 놓았던 것 같다.

 

  • 인생을 행복하게 보내려면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야 한다고 말하는 사람이 많다.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야 능률이 오르고 집중할 수 있다고 말이다. 그러나 처음부터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선택해 평생 자신의 직업으로 삼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애석하게도 그런 사람은 1,000명 중 한 명이 될까 말까다. 더구나 자신이 좋아하는 회사에 들어갔더라도 본인이 희망하는 부서에 배치되고, 자신이 원하는 일을 하는 사람은 1만 명 중 한 명도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1,000명 중 999명 1만 명 중 9,999 명은 불행하고 좋아하지도 않는 일을 억지로 해야 하기 때문에 능률이 떨어진다고 봐야 할까? 그렇지 않다. 오히려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분야에서 출발했지만 그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사람이 크게 성공할 수 있다.

 

  • 자신에게 주어진 일이 천직이라는 마음으로 즐겁게 일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어진 일이라서 어쩔 수 없이 한다는 생각을 버리지 않으면 절대로 일하는 고통에서 벗어날 수 없다.

 

  • 자기가 좋아하는 일을 추구하는 것은 유토피아를 찾는 것과 같다. 유토피아는 화려하지만, 현실에서는 절대 이루어질 수 없다. 유토피아는 유토피아일 뿐이다. 그래도 유토피아를 현실에서 이루고 싶다면, 지금 자신 앞에 놓인 일을 먼저 사랑하라.

 

  • 할 수 없다고 생각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지만, 할 수 있다고 믿으면 아무리 캄캄한 어둠 속에서도 반드시 길어 보이는 법이다.
반응형
반응형

이전에 적어 놓았던 문구들 중 최근에 읽어도 와닿는 문구 몇개만 살포시 포스팅 해본다.

참묘하다
살아서는 어머니가 그냥 어머니더니, 그 이상은 아니더니
돌아가시고 나니 그녀가 내 인생의 전부였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에서 어른이 된다는 건
자신이 배신당하고 상처받는 존재에서 
배신을 하고 상처를 주는 존재인걸 알아 채는 것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카오스는 혼돈, 혼란, 무질서를 의미하지만,
인문학적 의미의 카오스 이론은 그 혼돈, 혼란, 무질서 속에서도
일정한 규칙이 있는 걸 의미한다.

 

내 자존심을 지킨답시고, 나는 그녀를 버렸는데, 
그럼 지켜진 내 자존심은 지금 대체 어디에 있는 걸까?

 

머니문(Moneymoon)의 함정에 빠지지 말라, 머니문이란 어떤 물건을 구매하고 흡족해 하는 심정이 유지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당신이 그것을 구입하기 위해 돈을 지불했다고 해서 반드시 그것이 어떤 가치를 갖는 것은 아니다.
우리가 돈을 지불한 대상 중에서 제값을 하지 않는 것도 많다. 
우리는 구매를 하는 과정에서 많은 실수를 저지르지만 다만 그것을 인정하고 싶어 하지 않을 뿐이다.

 

활자를 읽는 것에 대한 거부감을 갖고 있다는 것은 진수성찬을 두고 구경만 하는 것과 같다.

 

사랑이라는 감정을 배우는 요령은 자기감정에 충실한 거에요. '나중에 사랑이 아니면 어쩌지?'이런 생각하지 마세요. 그런 생각하면 사랑 못해요. 하나만 따져요. 감정에 정직했느냐만, 내가 가진 감정이 사랑인지 아닌지는 모르죠. 하지만 사랑이라고 느꼈으면 정직하게 하고, 아니라는 게 확인 될 때 아니라고 이야기해주는 것, 이게 자신과 상대방에 대한 최소한의 예의입니다. 그것만 지키세요.
반응형
반응형

구글은 어떻게 일하는가의 shareSlide자료를 보고 와닿았던 문구들을 추려보았다.

 

1. 대부분의 회사들이 자유와 속도를 최대화하는게 아니라, 리스크를 최소하하려 한다.

먼저 요즘 IT회사들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하고 회사내에서도 보수적인 팀들의 성향을 잘 대변해주는 문구 인 것 같아 너무 와닿았다.

물론 관리자의 입장에서 리스크를 최소화하려고 노력하는 부분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지만 본인이 모르는 기술, 사용해보지 않은 것들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변화를 시도하지 않는다면 딱 그 자리 그 수준에서 밖에 머물 수 없다고 생각한다.

 

 

2. 1번과 같은 이유로 회사들은 변해가는 트렌드와 기술을 따라가기 힘들어지고 도태되고 만다.

 

 

 

3. 벤처회사의 기반을 계획에 두지마세요. 대신 전략적 토대에 기반을 두세요.

토이프로젝트를 동기 한 명과 진행하고 있는 요즘이라서 그런지 더욱 와닿았다. 내가 만들고 있는 서비스가 단순히 실력향상에만 초점이 맞추어져있다면 계획에 기반을 두고 진행되어도 괜찮겠지만 좀 더 큰 계획과 큰 꿈이 있기에 전략적 토대에 기반한 사고를 기르는데도 노력해야 할 것이다.

 

 

3. 양복쟁이들 말고, 연구쟁이들의 말에 귀를 귀울이세요.

실무를 하다보면 정말 100중에 10밖에 모르면서 90을 아는 것 처럼 말하는 분들을 접할 수 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직접 그 시스템을 만들어보지 않았고 같은 상황을 겪어보지 않고 단순히 본인들의 생각과 주변에서 주워들은 이야기들을 빗대어 이야기 하기 떄문이다. 

개발자로 일하고 나서 부터는 백 마디 생각과 말보다 비슷한 프로토타입이라도 만들어보고 직접 경험한 내용에 기반한 이야기를 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4. Ask yourself, what could be true in 5 years?

본인의 향후 5년 계획을 세워본 사람이 있는가? 살아지는 대로의 삶이 아닌 정말 본인이 추구하는 목표와 꿈이 있어 살아가는 사람이 있는가? 항상 나는 그런 삶을 살길 희망하고 노력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금 당장의 행복도 중요하지만 미래를 위해 일정부분 감내해야 하는 용기와 마인드도 필요하다 생각한다. 5년 안에 나는 무엇이 될 수 있을까? 많은 생각을 해본다.

 

 

5. 상상할 수 없는 걸 상상하세요. 상상할 수 없는게 이미 많이 벌어지고 있으니까요.

너무 헛된 망상에 둘러쌓여 살진 말되, 너무 현실적인 생각만으로도 살진 말자.

 

 

잠깐 스쳐가나가다 시피 보게 된 내용이였는데 생각하게 만드는 좋은 문구들이 많아 이렇게 포스팅하게 되었다.

원문을 보고 싶은 분은 아래를 참고 바란다.

참조 : https://www.slideshare.net/alleciel/how-google-works-korean

반응형
반응형


 '벤 호로비츠(Ben Horowitz)'의 투자 철학


실리콘밸리에는 전설적인 벤처 투자가들이 많다.


최근에는 새로운 인터넷 물결의 흐름을 주도하는 신생 벤처 캐피탈들이 많이 생겼다. 그 중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곳이 


'앤드리슨 호로비츠(Andressen Horowitz)'이다.


2013년을 기준으로 실리콘밸리에서 가장 활발한 벤처 캐피털 회사 중의 하나인 '앤드리슨 호로비츠'의 전략을 살펴보면,


세계에서 가장 활발한 벤처 생태계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다.


'앤드리슨 호로비츠'는 2009년 이래 총 27억 달라의 펀드를 운용하면서, 이미 121개 회사에 투자를 해왔다. 


우리에게도 익숙한 스카이프(Skype), 징가(Zynga), 인스타그램(Instagram), 트위터(twitter) 그리고 에어비앤비(airbnb)까지 투자했다. 


그야말로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는 거의 모든 사업에 투자한 벤처 캐피털 회사이다.


이 벤처 캐피털의 창업자 중의 한 사람인 '벤 호로비츠(Ben Horowitz)'의 투자 철학은 다음과 같다고 한다.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미친 아이디어에만 투자한다'


오히려, "초기에, 그 아이디어가 미친 것처럼 보이지 않으면, 그것은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아니다."


창조사회에서 수많은 아이디어 중에서, 성공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구별해 내는 그만의 철학이 묻어있는 이야기이다.




'소프트웨어 전쟁' 책 내용 중 '한국형 미래 전략' 부분에 소개되어진 글로 요즘같이 상상이 현실화되어가는 


시대에 의미있게 생각해볼 문구 인것 같아 포스팅하게 되었다.


사람들이 생각하기에 미친 아이디어, 혹은 비현실적인 아이디어들이 요즈음 세상을 변화시키고 있다. 


그런 아이디어를 생각해 낼 수 있는 능력 또한 중요하지만 내가 가지고 있지 못한 생각이나 아이디어들을 접했을 때 또 다른 가치를 부여하여 공감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만이 급격히 변해가는 사회에서 좋은 기회를 잡을 수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반응형
반응형


------------------------------------------------------------------------------

# 바람이 분다 당신이 좋다 중


한 여자를 알았다. 나는 그녀가 빨간색인 줄 알고 좋아했는데 그녀는 파란색이었다.

정반대의 색을 가지고 있어서 한순간 주춤 물러서기까지 했다. 그럴 경우, 내가 그쪽으로 옮겨가는 수밖에는 없었다.

하지만 얼마를 더 만났더니 그녀는 차라리 흰색이었다.


나는 그녀를 흰색으로 이해하기로 마음을 먹고 그녀에게 줄 흰 꽃을 준비했다. 

흰 이 꽃이 당신을 닮은 거 같아서 샀다고 했다. 초여름날, 보리수꽃을 내밀면서 내가 뱉은 말은 

내 감정의 전부이면서 진실이었다. 사랑하면 사랑할수록 대상은 색이 없어지고 오히려 지워져 창백해진다.

사랑스럽기 때문이다. 사랑의 감정으로 대상은 참을 수 없이 완벽해지기 때문이다.

------------------------------------------------------------------------------


처음 내가 좋아했던 색깔을 가진사람이라서 좋아했는데 알고보니 내가 싫어하는 색깔을 가지고 있더라.

하지만 더이상 그 색깔은 중요하지 않다. 이미 나는 그 사람의 색깔에 물들어 가고 있으니까.

그게 이전의 내가 싫어했던 색깔이든 그렇지 않든. 

허나 내가 가진 색깔과 너가 가진 색깔이 만나 만들어내는 색이 검은색만은 아니였으면 좋겠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