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저번 정리 PART.1에 이어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403 Forbidden ]

 403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파일 시스템의 퍼미션이 부여되지 않은 경우와 액세스 권한에 문제(허가되지 않은 송신 IP 주소의 액세스 등) 가 있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 실제로 현업에서 API 통신간 자주 보는 상태 코드이며 보통은 ACL문제라고 볼 수 있다.


[ 503 Service Unavailable ]

 이 리스폰스는 일시적으로 서버가 과부하 상태이거나 정검중이기 때문에 현재 리퀘스트를 처리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 상태가 해소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경우에는 Retry-After 헤더 필드에 따라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프록시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양쪽 역할을 하는 중계 프로그램으로,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리퀘스트를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로부터의 리스폰스를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클라이언트 <-> 프록시 서버 <-> 오리진 서버(Origin Server, 리소스 본체를 가진 서버)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는 이유는 캐시를 사용해서 네트워크 대역 등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조직 내에 특정 웹 사이트에 대한 액세스 제한, 액세스 로그를 획득하는 정책을 지키려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 프록시 사용 방법 2가지, 캐싱 프록시(Cashing Proxy)/투명 프록시(Transparent Proxy) ]

 캐싱 프록시 (Cashing Proxy) : 프록시에 다시 같은 리소스에 리퀘스트가 온 겨우, 오리진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획득하는 것이 아니라 캐시를 리스폰스로서 되돌려 주는 타입의 프록시

 투명 프록시 (Transparent Proxy) : 리퀘스트와 리스폰스를 중계할 때 메시지 변경을 하지 않는 타입의 프록시, 반대로 메시지에 변경을 가하는 타입의 프록시를 비투과 프록시라고 한다.


[ 게이트웨이 ]

 게이트웨이의 동작은 프록시와 매우 유사하나 게이트웨이의 경우에는 그 다음에 있는 서버가 HTTP 서버 이외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가 된다.

클라이언트 <-(HTTP 통신) -> 게이트웨이 <-(HTTP 프로토콜 이외의 통신) -> HTTP이외의 서버

두 컴퓨터(노드-node라고도 함)가 네트워크 상에서 서로 연결되려면 동일한 통신 프로토콜(protocol, 통신 규약)을 사용해야 한다. 따라서 프로토콜이 다른 네트워크 상의 컴퓨터와 통신하려면 두 프로토콜을 적절히 변환해 주는 변환기가 필요한데, 게이트웨이가 바로 이러한 변환기 역할을 한다. 한국인과 미국인 사이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역사를 두는 것과 동일하다 

자세한 설명 참고 : http://it.donga.com/6744/


[ 캐시(Cache) ]

 캐시는 프록시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로컬 디스크에 보관된 리소스의 사본을 가리킨다. 캐시를 사용하면 리소스를 가진 서버에 액세스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신량과 통신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캐시 서버는 프록시 서버의 하나로 캐싱 프록시로 분류되며 캐시 서버의 장점은 같은 데이터를 몇 번이고 오리진 서버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클라이언트는 네트워크에서 가까운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얻을 수 있고 서버는 같은 리퀘스트를 매번 처리하지 않아도 된다)


[ 클라이언트에 존재하는 캐시 ]

 캐시 서버만 캐시를 가지고 있는 게 아니라 클라이언트가 사용하고 있는 브라우저에서도 캐시를 가질 수 있다. IE에서 클라이언트가 보존하는 캐시를 인터넷 임시 파일이라고 부른다. 브라우저가 유효한 캐시를 가지고 있는 경우, 같은 리소스의 액세스는 서버에 액세스하지 않고 로컬 디스크로부터 불러 온다.


오늘은 여기까지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뭐든 배울 수록 배워야될게 더 생겨나가는 이 느낌. 정말 공부는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