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데이터 엔지니어로 살아가기 143일째(커스텀타겟팅) - 0721금요일


광고주 태그매니저에서 들어오는 데이터들을 orc로 적재하는 작업을 마무리하였다.


camus를 통해 kafka에서 데이터를 가져와 매시간 데이터를 적재하고 있지만


커스텀타겟팅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판단에 orc로 적재하기로 결정하였다.



작업을 완료하기까지 많은 수행착오를 겪었다. 인입되는 로그에서 실제 bid별 관심사를


추출해 적재하기로 사전에 얘기가 되었지만 실제로 작업을 완료하고 확인해보니 


생각보다 관심사를 추출하는 부분에서 처리시간이 많이 소모되었다. 


관심사 추출 후 date, action별로 partitioning하여 적재하는 시간이 단순 컬럼으로만 분리해서


적재했을 때의 시간보다 15배정도의 시간이 더 걸렸다.t.t

 


결국에는 일단 orc로 적재한 후 관심사 데이터가 필요할 경우 bid별 관심사 추출데이터와


join해서 사용하는 편이 리소스 활용측면이나 확장성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겠다는 결정을 내렸고 


scala spark으로 다시 orc 적재하도록 마무리하였다.



orc적재 작업을 진행하면서 java-spark에 어느정도 더 익숙해졌고 관심사 추출로직에 대해


심도있게 파악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삽질도 많이했지만 좋은 기회가 되었던 것 같다.


이제 실제 커스텀타겟팅 메인 프로젝트 작업에 슬슬 시동을 걸어봐야겠다~


아! 그리고 틈틈히 scala공부를 하도록하자~scala 와 spark는 뗄래야 뗄 수 없는 관계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 엔지니어로 살아가기 140일째(커스텀타겟팅) - 0718화요일


저번주 후반부터 이번주 계속해서 광고주 데이터를 orc로 적재하는 프로젝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단순 로그를 orc로 적재하는라면 scala spark을 통해서 쉽게 할 수 있겠지만 tag manager를 통해

유입된 요청들의 url에 매핑되어 있는 상품정보들을 형태소 분석기를 통해 관심사 번호와 매핑작업이 필요하기에

scala spark으로 작업을 진행 할 수 없었다. 

형태소 분석모듈과 관심사를 뽑아내는 로직이 자바로 되어져 있었기에 자바스파크로 작업을 진행중이다.


현재 관심사 추출 후 orc 적재하는 프로젝트가 80%이상 완성이 되었고 그 이후 spark sql을 통해

Custom Targeting을 진행할 메인 프로젝트 진행이 필요한 상황이다.


구글의 빅쿼리와 같이 쿼리 한번으로 사업측이나 기획측이 타겟팅하고 싶어하는 대상들의 uv를 뽑아내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UI, 요청 처리하는 프로세스, API등 생각해봐야 할 문제들이 한 두 가지가 아니다.

오늘 하루 집에오는 길 내내 어떻게 시스템 구성 및 전체적인 custom타겟팅의 처리 flow들에 대해서 생각했던 것 같다.


그만큼 할 일은 많지만 요즘은 일이 너무 재밌다.

좀 더 불태워보자 화이팅:)

반응형
반응형

Collect연산?

Spark에서 Collect연산은 RDD의 모든 원소를 모아서 배열로 돌려줍니다.

반환 타입이 RDD가 아닌 배열이므로 이 연산은 액션에 속하는 연산입니다.


[ Collect연산을 사용하실 때 주의사항 ]

Collect 연산을 수행하면 RDD에 있는 모든 요소들이 collect 연산을 호출한 서버의 메모리에 수집되기 때문에

전체 데이터를 모두 담을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메모리 공간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out of memory exceptio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크기으 데이터를 디버깅하거나 처리할 때 제한적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 엔지니어로 살아가기 135일째(카산드라) - 0713목요일


역시 꾸준한게 제일 어려운 것 같다...못해도 3일에 한번씩은 기록하고자 마음먹었는데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래도 잊지말고 앞으로라도 꾸준히 써나가도록 하자.


최근에는 알파 환경에서 리얼환경처럼 데이터가 유입되도록 하는 작업을 진행했었다.

실제 데이터 파이프라인은 구축이 되어있었지만 알파환경에서는 작동하는 태그매니저들이 없기 때문에

데이터가 실제로 유입이되지 않고 있었고 데이터가 없어 spark job들에 대해서도 매번 테스트하기가 너무 힘들었다.

이럴거면 알파환경을 도대체 왜쓰는가? 서버비 아깝게...


그래서 실제 리얼 태그매니저들을 통해 들어오는 데이터의 일부를 rsync로 알파서버에 daily로 받아오게 하여

알파 수집서버로 api를 호출하도록 작업하였다.


요즘은 CustomTargeting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기획부터 시스템설계까지 진행을 하고 있고 구글의 빅쿼리를 모티베이션 삼아 진행하고 있다.


관심사 추출하는 로직과 기존 클러스터 환경상 java7로 스파크작업을 하는데 삽질을 많이 하고 있긴 하지만

스칼라로 작업을 할 때보다 map, flatmap 등 연산작업들의 내부 구현에 대해 좀더 자세히 배우고 있는 느낌이든다.


요즘은 일하는게 너무 재밌어서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일하는 것 같다.


일도 일이지만 데이터 처리하는 기술들에 대해 공부에 대한 욕심도 많이 생긴다.

너무 욕심부리지 말고 천천히 꾸준히 일도 공부도 운동도 열심히 하도록 하자~!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 엔지니어로 살아가기 112일째(분산환경 로깅)


spark yarn-cluster에서 돌아가고 있는 실시간 작업들에 대한 로깅이 정상적으로 log4j파일의 위치에 남지 않아 한참을 헤맸다.

실제로는 분산환경에서는 작업 뿐만아니라 로깅또한 driver와 각 executor가 동작하는 데이터노느들에 분산되어 저장되게 된다.

yarn logs -applicationId (appilicationId) 를 통해서 확인을 할 수 있었지만 실제로 오랫동안 실시간으로 돌아가고 있는

시스템에 대한 로그들이 워낙 큰고 빠르게 쌓이기 때문에 확인하기가 어려웠다.


그리고 왜 실제로그는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한 번만 찍히고 이 후 동작하는 stream들에 대해서는

로그가 안남는것인지 원인을 찾지 못하였다.


아직 갈길이 험난하고도 먼 것 같다.

반응형
반응형

데이터 엔지니어로 살아가기 101일 째


어제(0609 금요일) 하루는 최근 회사 내에서  IDC 네트워크 장애에 대해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서버룸중 특저 서버룸의 스위치가 문제를 일으키며 해당 룸의 서버들의 네트워크 통신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았다. 

사내에서 서비스하는 서비스들 모두가 장애시간동안 정상동작 하지 않았던 대형 이슈였다.

큰 장애가 터진 문제의 시발점은 access switch OS 버그에서 기인했다고 설명해주셨다. 

네트워크적인 지식이 많이 부족해 공유된 내용 모두를 이해하진 못했지만 사소한 버그들이 맞물려 큰 사고로 이어졌고 이에 대한 대응책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오후에 저번주 리타겟팅 시스템 장애로 작업이 진행되지 못했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실시간으로 처리되고 있는 데이터들이 정상적으로 데이터를 카산드라에 적재하고 있는지 모니터링 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작업을 하면서 어려움을 느꼈던 부분은 현재 알파 클러스터와 리얼클러스터에서 스파크 버전이 1.5에 맞춰져 있어 kafka stream, spark의 maven dependency버전 맞추는 부분에서 시간을 많이 빼앗겼다. 스칼라로 작업했으면 훨씬 빠르게 했을 것을 다른 시스템과의 연동이 많이 필요할 것 같아 자바(java8 이 아닌 java7)로 스파크 작업을 하다보니 시행착오를 많이 겪었다.


알파 클러스터에는 실시간으로 데이터들이 적재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curl을 통해 실시간으로 로그를 쏴주는 스크립트를 작성 후 

카프카에서 실시간 처리하는 시스템 작업으로 생각보다 고려할점들이 많았다.


간만에 시스템 설계부터 코딩작업에 시간은 잘갔던 것 같다. 

시행착오들, 경험들이 쌓여 이후 작업에서는 시스템 설계와 구현시 같은 이유로 시간을 많이 빼앗기지 않도록 열심히 배우고 공부하자.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