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사이즈가 큰 대략 두 데이터 각각 2TB (2000GB) 정도의 데이터의 ID값들을 JOIN시켜 얼마나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간만에 들어온 Adhoc요청에 요구사항 파악이 먼저였고 "사이즈가 커봤자 스파크가 executor개수와 core개수 excetuor memory설정만 맞춰주면 잘 돌리면 되겠다."라고 생각했었다.
하지만 사이즈가 크다보니 실제 운영 클러스터에서 spark-shell에 접속해 command를 날리는건 클러스터의 실제 운영되는 작업에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일정 부분의 데이터들을 떼와 로컬 Spark 모듈 프로젝트를 통해 원하는대로 파싱하고 조인해서 결과값이 나오는지 먼저 확인하였다.
두 데이터 각각 2TB들을 가공해 뽑아야 하는 조건은 15가지 정도 되었고 나는 해당 코드작업을 하고 jar파일로 말아 특정 리소스풀을 사용하는 조건과 스파크 설정값들을 알맞게 설정해 spark-submit을 실행할 예정이었다.
작업에 대해 설명하기 전에 클러스터 규모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자면 실제 서비스를 운영하는 클러스터는 아니였고
Data Lake로 사용되는 데이터노드 5대로 이루어진 규모가 그렇게 크지 않은 클러스터였다.
데이터 추출의 첫 번째 조건
특정 action을 했던 ID값들을 뽑아 distinct하고 counting하는 작업이었다.
물론 데이터사이즈가 크긴했지만 단순한 작업이였기에 그렇게 오래는 걸리지 않을거라고 예상했다 (20분 이내 예상)
실제 Spark-submit을 수행하였고 각 파일들을 읽어들여 카운팅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Spark에서 제공하는 Application UI을 통해 어떤 작업 현재 진행중인지 executor들을 잘 할당되어 일을 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 하였다.
근데 이게 왠걸??? Couning을 하는 단계에서 실제 action이 발생했고 (Spark는 lazy연산이 기본) 시간이 너무 오래걸리는 걸 발견하였다...한 시간 이상이 지나도 끝나지 않은 것으로....기억한다.
따라서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어 일단 요구사항들 중 한번에 같이 처리할 수 있는 그룹 세개로 나누고 기존 데이터를 가지고 처리할게 아니라 특정조건으로 filterling이 된 실제 필요한 데이터들만 가지고 작업을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일단 원하는 조건으로 filterling을 한 후 해당 데이터들만 hdfs에 다시 적재했다.
실제 처리에 사용될 데이터 사이즈가 2~4G로 훅 줄었고 (다른 값들을 다 버리고 조건에 맞는 실제 ID값만 뽑아냈기 때문) 이제 돌리면 되겠다 하고 생각하고 돌렸다.
그런데...데이터 사이즈가 2~4G밖에 안되는 데이터들간 Join을 하고 Counting을 하는 작업이 무슨 20~30분이나 걸린단 말인가?....(1~3분 이내를 예상했음)
그래서 이전에 비슷한 상황에서 실제 데이터들의 파티션이 데이터 사이즈에 비해 너무 많이 나누어져 있어서 Spark가 구동되며 execution plan을 세울 때 많은 task들이 발생되어 성능이 떨어졌던 기억이 있어 필터링 한 데이터들의 파티션 개수를 세어 보았더니...
사이즈가 2.6G가 밖에 안되는 실제 사용될 데이터의 파일의 개수가....각각 14393개와 14887개였다.....
이러니 task들이 몇 만개씩 생기지......😱
해결방법
따라서 아 필터링된 아이디값의 데이터들을 hdfs로 쓸 때 개수를 줄여 쓰는 것 부터 다시 해야겠다라고 판단하고 rdd를 save하기전 coalesce(20)을 주어 14393개로 나뉘어진 파티션들을 20개의 파티션으로 나뉘어 쓰이도록 수정해 주었다.
그리고 ID값을 기준으로 두 데이터를 Join이후 distinct하고 counting하는 작업도 굉장히 늦었기에 join이후에 repartition으로 파티션의 개수를 줄여주고 counting을 하도록 수행해주었다.(실제 ID값으로 Join을 하게 되면 데이터가 줄어들기 때문에 많은 파티션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 coalesce와 repartition은 둘다 파티션의 개수를 조절해주는 메서드인데 차이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 바랍니다.
https://brocess.tistory.com/183?category=715036
이렇게 수정을 하고 수행하였더니 task개수도 확 줄어들고 수행시간도 5~7분이내에 다 끝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Spark 데이터 처리 작업시 고려사항
간만에 데이터 추출작업을 하다보니 미처 늦게 인지한 부분도 없지 않아 있었다. 이렇게 사이즈가 큰 데이터를 처리할 때는 항상 파티션의 개수를 잘 조절해서 처리하길 바란다. 그리고 스파크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에는 많은 부분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데이터들의 파티션과 spark를 수행할 때 기본적인 executor개수와 core의 개수 executor 메모리 설정만 적합하게 되도(이 적합하게가 힘듬...) 큰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Bigdata > Spa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ark-submit RejectedExecutionException 발생 (0) | 2020.03.06 |
---|---|
[ Spark ] binary형태 데이터 읽기 (0) | 2019.07.24 |
[ Spark ] sort와 order by 차이점??? (0) | 2019.07.16 |
[ Spark ] 스파크 작업 중 만난 "no space left on device" 에러 (0) | 2019.06.12 |
[ Spark ] 스파크 특정 노드에서 기존에 발생하지 않던 이슈가 발생했다면? (0) | 2019.03.27 |